기하 1 - 1085번: 직사각형에서 탈출
https://jh4995.tistory.com/125
기하 1 - 1085번
1월 30일(월) - 기하 1 (1085번)..... 1085번: 직사각형에서 탈출 한수는 지금 (x, y)에 있다. 직사각형은 각 변이 좌표축에 평행하고, 왼쪽 아래 꼭짓점은 (0, 0), 오른쪽 위 꼭짓점은 (w, h)에 있다. 직사각
jh4995.tistory.com
기하 1 - 3009번: 네 번째 점
https://jh4995.tistory.com/126
기하 1 - 3009번
1월 30일(월) - 기하1 (3009번)....... 3009번: 네 번째 점 세 점이 주어졌을 때, 축에 평행한 직사각형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네 번째 점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ㅡㅡㅡㅡㅡㅡㅡ
jh4995.tistory.com
기하 1 - 4153번: 직각삼각형
https://jh4995.tistory.com/127
기하 1 - 4153번
1월 30일(월) - 기하 1 (4153번)..... 4153번: 직각삼각형 입력은 여러개의 테스트케이스로 주어지며 마지막줄에는 0 0 0이 입력된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모두 30,000보다 작은 양의 정수로 주어지며, 각
jh4995.tistory.com
기하 1 - 2477번: 참외밭
(최초풀이와 최종풀이 사이에 발생한 문제점이 너무 많음 -> 복습 필요)
https://jh4995.tistory.com/131
기하 1 - 2477번
2월 1일(수) - 기하1 (2477번)......... 2477번: 참외밭 첫 번째 줄에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K (1 ≤ K ≤ 20)가 주어진다. 참외밭을 나타내는 육각형의 임의의 한 꼭짓점에
jh4995.tistory.com
기하 1 - 3053번: 택시 기하학
https://jh4995.tistory.com/132
기하 1 - 3053번
2월 1일(수) - 기하1 (3053번)........ 3053번: 택시 기하학 첫째 줄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 둘째 줄에는 택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 출력한다. 정답과의 오
jh4995.tistory.com
기하 1 - 1002번: 터렛
https://jh4995.tistory.com/135
기하 1 - 1002번
2월 2일(목) - 기하1 (1002번)......... 1002번: 터렛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수를 출력한다. 만약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개수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jh4995.tistory.com
기하 1 - 1004번: 어린 왕자
https://jh4995.tistory.com/138
기하 1 - 1004번
2월 3일(금) - 기하 1 (1004번)....... 1004번: 어린 왕자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jh4995.tistory.com
기하 1 문제에서는 조건문과 함수의 활용이 중요했다
여러 조건들에 의한 분류과정을 거치면서 결과적으로 몇 가지의 한정된 값들만을 출력해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과정에서
1) main 함수안에서 조건문을 활용해서 최종적인 출력값을 출력해야하는지,
2) 아니면 main 함수안에서만 진행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함수를 정의해야하는지를 판단해야한다
조건문을 활용해야하는 경우, 특히 if - else if - else 를 활용해야하는 경우에는
if - else if 파트에서 예외들을 먼저 제외시킨 이후, else 에서 최종적인 출력을 진행할 것 인지
아니면 if - else if 파트에서 몇 가지 경우에만 출력을 진행할 것 인지
이렇게 2가지의 케이스 중 어느 방향을 선택할 것 인지를 먼저 현명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했다
풀이진행과정을 예상했을때, 같은 계산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 같다면 함수를 활용하는 것이 좋았다
그리고 함수를 활용해야한다면, 함수에 입력으로 넘겨주어야하는 값과 return 받아야하는 값을 확실히 정해야한다
그렇기에 너무나도 당연하지만, 내가 최종적으로 출력해야하는 값이 무엇인지를 더더욱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위의 주된 내용에 추가적으로, 매크로를 통해서 MAX 혹은 MIN 의 비교를 단순화하거나
<math.h>의 활용을 추가하면서 풀이과정을 단순화하는 스킬 또한 필요했다
'백준(복습 및 풀이계획) > 단계별 복습(~23.06)'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복습 - 2차원 배열 (0) | 2023.02.28 |
---|---|
백준 복습 - 정수론 및 조합론 (1) | 2023.02.27 |
백준 복습 - 집합과 맵 (0) | 2023.01.31 |
백준 복습 - 브루트 포스 (0) | 2023.01.30 |
백준 복습 - 재귀 (0) | 2023.01.30 |
댓글